세금 줄여주는 아줌마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택과 조합원 입주권 보유시 비과세 방법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리겔마눌입니다. 오늘은 주택과 조합원 입주권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주택을 보유한 경우 추가로 조합원 입주권이나 분양권을 취득하여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 양도소득세는 비과세가 됩니다. 여기서 먼저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고, 입주권과 분양권의 정의를 알아야 합니다. 먼저, 조합원 입주권은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이나 빈집 및 소규모주택정비에관한법에 따라 신규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분양권은 주택법 등에 따라 '일반분양'에 의하여 신규주택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를 의미합니다. 일시적 2주택의 조건(비과세 조건) 일반적으로 일시적 2주택이란, 이미 주택.. 더보기 래미안 레벤투스(도곡삼호 재건축, '23년 분양단지) 안녕하세요 부동산 공부를 하는 리겔마눌입니다. 오늘은 강남구에 위치한 래미안 레벤투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래미안 레벤투스는 기존 도곡삼호아파트를 재건축하는 단지로, 삼성물산과 수의계약으로 진행되는 단지입니다. 총 308세대로 큰 단지는 아니지만 일반분양 133세대로 적지 않고, 대치동 학원가와 가깝게 위치하고 있어 주목해야 하는 단지라고 생각합니다. 래미안 레벤투스(도곡삼호아파트 재건축)에서 한티역까지는 도보 11분으로 나오는데, 제가 직접 걸어보았을 때 11분까지 걸리지는 않았습니다. 한티역은 유명한 대치동 학원가가 위치하고 있어 자녀를 키우는 분들에게 좋은 곳입니다. 게다가 아파트 뒤편에는 강남 세브란스병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도곡중학교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어떻게 된 일인가요. 가까운.. 더보기 상속 증여 세금상식 #5(축의금 증여세, 생활비 및 교육비 증여세, 빌린돈 증여세)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계속해서 돈이 되는 상식 상속과 증여의 세금상식에 대해 깊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는 국세청 자료입니다. 원본을 다운로드하고 싶으신 분들은 국세청 홈페이지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축의금은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축의금은 무상으로 받는 금전이지만 통상적인 수준으로 받는 축의금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또한 결혼할 때 부모가 결혼당사자에게 구입해 주는 일상적인 혼수용품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여기에서 통상적인 수준, 일상적인 혼수용품이 참 애매모호한 표현이죠. 통상적인 수준과 일상적인 혼수용품이 아닌 것은 과도한 축의금, 사치용품, 주택, 자동차 등의 과세되는 재산이 됩니다. 축의금으로 자산을 구입할 때에는 축의금이 누구.. 더보기 상속 증여 세금상식 #4(생명보험 상속세, 자녀 대출금 상환)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국세청에서 발표한 자료 상속증여 세금상식에 대한 내용을 계속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생명보험금은 상속세가 없다? 아버지가 생명보험을 가입하면서 그 보험금 수령인을 자녀로 두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때 보험계약자를 본인으로 하면 상속세가 과세되지만 보험계약자를 소득이 있는 자녀로 둔 경우에는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구분 보험계약자 보험금 수령인 과세여부 CASE 1 아버지 자녀 상속세 O CASE 2 자녀 자녀 상속세 X 단, 보험계약자를 자녀로 하여도 아버지가 실제로 보험료를 납부하였을 때에는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해 받는 보험금은 상속재산에 포함된 답니다. 자녀가 아버지의 사망 시 납부할 상속세를 미리 준비하기 위해 아버지 사망시 보험금을 .. 더보기 상속 증여 세금상식 #3(동거주택 상속공제, 상속 후 5년 1주택자, 상속시 양도세, 분납과 연부연납 제도)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지난번에 이어 국세청에서 발표한 상속 증여 세금상식 3탄입니다. 피상속인 봉양 시 동거주택 상속공제 피상속인을 봉양한 경우 아래의 2개 요건을 만족하면 동거주택 가격에서 최대 6억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10억 원이라면 6억 원이 공제됩니다. 6억원 경우에는 6억원 모두 공제됩니다. [요건 1] 10년 이상 1세대 1 주택에 동거하여야 합니다. [요건 2] 피상속인과 동거한 자녀가 주택을 상속받아야 합니다. 이때 동거한 자녀가 주낵의 일부를 상속받더라도 그 지분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공제 자녀가 10억 원의 주택 중 50%만 상속받을 경우 5억 원을 공제받을 수 있다. 배우자는 피상속인과 동거하였더라도 동거주택 상속공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배우자.. 더보기 상속 증여 세금상식 #2 (국세청, 상속 주택의 가격결정, 상속주택 배우자 상속, 무상거주시 세금)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국세청에서 발표한 상속 증여에 대한 세금상식에 대해 글을 쓰겠습니다. 상속주택의 가격결정 1순위는 상속받은 주택이 최근 매매 또는 경매 등을 통해 거래되었다면 그 거래가격을 주택의 가격으로 봅니다. 이 거래가격은 사망일 전 2년부터 사망일 후 15개월 사이에 이루어진 거래만을 봅니다. 매매 또는 경매 이외에도 감정, 공매 등을 통해 해당 주택의 가치를 평가한 적이 있다면 그 금액도 주택가격으로 볼 수 있습니다. 2순위는 최근 상속받은 주택이 거래된 적이 없다면 상속주택과 유사한 주택이 거래된 가격을 상속주택의 가격으로 봅니다. 3순위는 유사한 주택의 거래도 없는 경우 공시가격을 주택의 가격으로 봅니다. 아파트와 빌라는 공동주택공시가격, .. 더보기 상속 증여 세금상식 #1(상속세란?,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 사망 전 예금인출)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리겔마눌입니다. 오늘은 국세청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상속증여 세금상식이라는 발표자료를 조금 쉽게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상속세는 어떤 세금인가요? 상속세는 돌아가신 분의 재산에 대해 유가족이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상속세 신고를 위해서는 돌아가신 분(피상속인) 소유의 재산과 채무를 모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택, 자동차, 예금과 같은 재산도 파악해야 하지만, 대출, 신용카드대금, 미납세금, 미납병원비와 같은 채무도 알아야 합니다. 상속금액에서 '상속공제'라는 일정금액을 빼는데, 상속공제를 잘 활용하면 상속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상속공제는 다음시간에 더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하면 피상속인의 재산과 채무를 알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온라.. 더보기 결혼 시 3억 증여세 공제(혼인신고일 전후 2년, 23년 세법개정안) 안녕하세요 세금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오늘은 정부가 발표한 2023년 세법개정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세법개정안에는 결혼 시 부모로부터 받은 증여재산에 대해서는 1억 5,000만 원(기존 5000만 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부부가 각각 1억 5,000만 원을 증여받으면 부부합산 3억까지 증여세가 면제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출산 극복을 위한 지원은 이번 세법개정안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부는 혼인 증여세 공제를 신설하기로 하였는데요. 혼인신고일 전후 2년이니까 총 4년 이내에 부모로부터 증여받은 1억 5,000만원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현금, 건물, 토지 등 증여재산 종류나 용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고 합니다. 신혼부부가..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