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여세

상속 증여 세금상식 #5(축의금 증여세, 생활비 및 교육비 증여세, 빌린돈 증여세)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계속해서 돈이 되는 상식 상속과 증여의 세금상식에 대해 깊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는 국세청 자료입니다. 원본을 다운로드하고 싶으신 분들은 국세청 홈페이지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축의금은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축의금은 무상으로 받는 금전이지만 통상적인 수준으로 받는 축의금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또한 결혼할 때 부모가 결혼당사자에게 구입해 주는 일상적인 혼수용품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여기에서 통상적인 수준, 일상적인 혼수용품이 참 애매모호한 표현이죠. 통상적인 수준과 일상적인 혼수용품이 아닌 것은 과도한 축의금, 사치용품, 주택, 자동차 등의 과세되는 재산이 됩니다. 축의금으로 자산을 구입할 때에는 축의금이 누구.. 더보기
상속 증여 세금상식 #4(생명보험 상속세, 자녀 대출금 상환)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국세청에서 발표한 자료 상속증여 세금상식에 대한 내용을 계속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생명보험금은 상속세가 없다? 아버지가 생명보험을 가입하면서 그 보험금 수령인을 자녀로 두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때 보험계약자를 본인으로 하면 상속세가 과세되지만 보험계약자를 소득이 있는 자녀로 둔 경우에는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구분 보험계약자 보험금 수령인 과세여부 CASE 1 아버지 자녀 상속세 O CASE 2 자녀 자녀 상속세 X 단, 보험계약자를 자녀로 하여도 아버지가 실제로 보험료를 납부하였을 때에는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해 받는 보험금은 상속재산에 포함된 답니다. 자녀가 아버지의 사망 시 납부할 상속세를 미리 준비하기 위해 아버지 사망시 보험금을 .. 더보기
상속 증여 세금상식 #3(동거주택 상속공제, 상속 후 5년 1주택자, 상속시 양도세, 분납과 연부연납 제도)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지난번에 이어 국세청에서 발표한 상속 증여 세금상식 3탄입니다. 피상속인 봉양 시 동거주택 상속공제 피상속인을 봉양한 경우 아래의 2개 요건을 만족하면 동거주택 가격에서 최대 6억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10억 원이라면 6억 원이 공제됩니다. 6억원 경우에는 6억원 모두 공제됩니다. [요건 1] 10년 이상 1세대 1 주택에 동거하여야 합니다. [요건 2] 피상속인과 동거한 자녀가 주택을 상속받아야 합니다. 이때 동거한 자녀가 주낵의 일부를 상속받더라도 그 지분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공제 자녀가 10억 원의 주택 중 50%만 상속받을 경우 5억 원을 공제받을 수 있다. 배우자는 피상속인과 동거하였더라도 동거주택 상속공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배우자.. 더보기
상속 증여 세금상식 #1(상속세란?,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 사망 전 예금인출)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리겔마눌입니다. 오늘은 국세청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상속증여 세금상식이라는 발표자료를 조금 쉽게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상속세는 어떤 세금인가요? 상속세는 돌아가신 분의 재산에 대해 유가족이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상속세 신고를 위해서는 돌아가신 분(피상속인) 소유의 재산과 채무를 모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택, 자동차, 예금과 같은 재산도 파악해야 하지만, 대출, 신용카드대금, 미납세금, 미납병원비와 같은 채무도 알아야 합니다. 상속금액에서 '상속공제'라는 일정금액을 빼는데, 상속공제를 잘 활용하면 상속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상속공제는 다음시간에 더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하면 피상속인의 재산과 채무를 알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온라.. 더보기
상속세와 증여세 #1(상속세, 상속세율, 증여세, 증여세율, 상속세와 증여세 차이) 안녕하세요 세금을 줄여주는 아줌마 리겔마눌입니다. 자녀가 있으신 분이나, 부모님이 재산이 있으신 분들은 상속세와 증여세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오늘은 상속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세란? 상속세란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당해 상속재산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상속의 순위 우선순위 피상속인과의 관계 상속인 해당 여부 1순위 직계비속과 배우자 항상 상속인 2순위 직계존속과 배우자 직계비속이 없는 경우 상속인 3순위 형제자매 1,2순위가 없는 경우 상속인 4순위 4촌 이내의 방계혈족 1,2,3순위가 없는 경우 상속인 상속세 세율 과세표준 1억원 이하 5억원 이하 10억원 이하 30억원 이하 30억원 초과 세율 10% 20% 30% 40%.. 더보기